믿을 수없는 좋은 골프우드 진실
골프클럽(Golf Club)이란
공을 치는 데 쓰는 채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드라이버,
우드, 아이언, 웨지, 퍼터 등
14개 이하의 클럽을 가지고 경기를 합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우드는
비거리를 내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래서 골퍼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나 모델명을 들으면
대부분 우드 종류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모양과 형태를
갖춰야 좋은 우드라고 할 수 있을까요?
우드 헤드모양은
어떻게 생겼나요?
우드 헤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블레이드’ 타입은
말 그대로 칼날처럼 얇고 긴 형상이며,
페이스면 역시 평평하게 되어 있습니다.
반면 ‘스푼’ 타입은
솔 부분이 넓고 둥근 곡선형상이어서
임팩트 시 지면과의 마찰을 줄여주고
스윙 스피드를 높여줍니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블레이드 타입이면서
스푼타입의 성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스타일의 우드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샤프트 길이는
왜 다 다른가요?
일반적으로 샤프트
길이가 짧을수록 컨트롤하기 쉽고
방향성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무조건 짧은 게
좋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키가 작은 사람에게는
오히려 긴 샤프트가 유리할 수 있고,
힘이 약한 여성골퍼라면
조금 짧게 잡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체형과
구질 및 탄도 그리고 스윙스피드 등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헤드 체적은
얼마나 커야 하나요?
보통 남성용
페어웨이우드는 460cc 이상이고,
유틸리티우드는 190~200cc 내외입니다.
물론 이것은 절대적인 기준은 아닙니다.
다만 크기가
클수록 스위트스폿이 넓어지고
관용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미스샷 확률이 낮아집니다.
또한 큰 사이즈의 헤드는 어드레스 시
심리적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보다 편안한 스윙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페이스 두께는
얇을수록 좋은가요?
드라이버 샷에서의
반발계수 제한 이후 많은 업체들이
반발계수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페이스
두께가 얇아지는 추세였습니다.
그러나 너무 얇게 만들면
내구성이 약해져 쉽게 깨지거나
금이 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두껍게 만들면
무게중심이 높아져
관성모멘트가 떨어집니다.
결국 적당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강도를
높이는 것이 관건입니다.
그립 굵기는
얼마가 적당한가요?
최근 그립 시장에선
얇은 그립이 대세입니다.
손이 작은 동양인에게
적합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실제로 프로선수들을 비롯해 상급자일수록
두꺼운 그립을 선호합니다.
아무래도 손가락 마디마디에
걸쳐 견고하게 잡아주는
느낌이 좋기 때문입니다.
단, 장갑사이즈 24호 미만의 경우엔
얇은 그립이 좋습니다.